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운영체제
- 자료구조
- AVL트리
- Kruskal
- python
- 연결리스트 종류
- HTTP
- 힙트리
- 프로세스
- 백준장학금
- spring
- heapq
- 멀티프로세서
- 점근적 표기법
- 엔티티 그래프
- 이분탐색이란
- 알고리즘
- posix
- 스케줄링
- SpringSecurity
- jpa n+1 문제
- JVM
- 백준 장학금
- 최대 힙
- 최소힙
- 완전이진트리
- MSA
- 연결리스트
- 강화학습
- JPA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이분탐색이란 (1)
KKanging

이분 탐색이란 이분 탐색의 특징 일반적으로 크기가 N인 배열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을 때 사용할 수 있다. 수행시간이 O(logn)으로 완전 탐색 알고리즘 보다 훨씬 단축된다. 이분탐색은 왜 필요로 할까 위와 같은 N=5 배열이 있고 우리는 배열의 원소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브루트 포스 알고리즘 ( 완전 탐색 알고리즘)을 사용한다면? 1을 찾는다면 한번에 찾을 수 있다. 하지만 20을 찾는다면 20을 찾을 때까지 5번의 수행을 해야한다. 위 예시는 배열의 크기가 작지만 1024개의 크기라고 가정하면 1024번을 수행한다. 이분탐색의 원리 찾는 대상 20 mid 인덱스 값을 구한다 이때 mid 인덱스는 탐색하는 배열의 첫 원소와 마지막 원소의 인덱스의 중간값이다. mid = (start..
cs/알고리즘
2023. 8. 13. 17:47